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지] Power BI 교육 및 컨설팅 관련 블로그를 시작하며

by 대기업 BI 2024. 1. 14.

안녕하세요!

현재 대기업 내 Power BI Coordinator 활동 중이며,

크몽 및 해커스 HRD 내 Power BI 대표 강사로 활동 중인 5년차 BI 유저 대기업 BI 입니다. 😀

이번 블로그를 시작하며 몇 가지 블로그 운영 포인트와 앞으로 방향성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Power BI 뿐만 아니라 Power Apps, Power Automate 를 사용해

MS Solution 생태계를 만들고, 데이터 입력 - 분석의 전 과정을

모두 일원화 하고 싶다."

- 중소기업 상무님 요구사항 中

 


 

제조업에 종사하며, Power BI를 100%가 아니라 200% 이상 활용하고 싶은 욕심이 생기더라구요.

그러다 보니, 여러가지 Power BI 를 포함한 MS 솔루션에 연계하는 방법들을 찾다보니,

대부분이 해외 커뮤니티 영상뿐이고 영상 수도 많이 적어서 실제 접근성이 어렵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그 어려운 부분들을 내가 학습하고, 쉽게 전파할 수 있다면 지식산업(?)에 좀 보탬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그렇고, 그럼 어떻게 ? 그것이 가능하겠는가를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Power BI 와 Microsoft Solution의 연계

 

먼저, 방향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Power BI란 무엇인지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아래와 같이 요약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Power BI 는 이미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이용해
Visualization (시각화)를 도와주고, 웹에 게시하여 여러 사용자에게 공유가 가능한 Tool

또한, Power BI는 아래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Power BI Desktop : 데이터를 이용해 보고서를 작성하는 공간 (로컬 Application)

Power BI Service : 작성된 보고서를 웹 영역에 게시하고,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공간 (Web 영역)

 

 
Power BI Desktop 샘플

 

하나의 이미지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Power BI Desktop 내 보고서 작성 →

Power BI Service에 게시 → 사용자 간 공유, 활용

Power BI 생태계 설명자료

 

 

서론이 길었습니다만, 그럼 MS Solution 들을 연계해서 어떻게 하나의 일원화된 데이터 분석 생태계를 만들 수 있을까요?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이 간단합니다.

 


1. Power BI 보고서를 구축한다.

2. Power BI 보고서 내 Power Apps, Power Automate 등의 솔루션을 Insert 한다.

3. 추가로 필요한 데이터 전처리, 자동 업데이트 등은 Python 등의 부가적인 솔루션을 이용한다.

4. Power BI 안에서 자동 이메일링, 데이터 셋 자동 업데이트, 실시간 시각화.. 등의

사람이 개입 영역을 최소화 한 "MS Solution" 생태계를 구축한다.

자.. 그럼 이때 드는 한가지 생각은 그래서 어쩌라고.. 😂


먼저 최종 결과물을 바로 보여드리는게 맞겠습니다.

먼저 아래 보고서는 제가 만든 "각 기업에서 진행한 Project 관리 보고서" 입니다.

추가로 (+) 버튼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를 Power BI 안에서 Power Apps 폼을 구성하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세팅했고,

Power Automate를 활용해 수신자 이메일을 입력하게 되면 첨부파일, 메일 내용.. 등이

자동으로 이메일링 되는 기능도 구현 했습니다.

 
 

+ 추가로 사진의 경우에 이미지 삽입 형태가 아니라, base64 자동 인코딩을 통해 DB에 축적되는 형태입니다. (Python 사용)

그래서 최종 완성된 결과물은 엑셀과 같이 별도 데이터 파일 관리가 필요 없고,

입력과 동시에 실시간 데이터 Display가 가능하고, 사진 등의 데이터도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누르게 되면

그 프로젝트 사진이 출력되는 구조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어쩌라고...? 앗. .

 

그럼 기존 웹 개발 형태와 다른게 뭐냐? 하면 가장 큰 차이는 저 비용으로 구축이 가능​하며,

로우 코드 (전문적인 코드 구성이나 개발 영역이 아닌) 로 구성이 가능한 영역이라는 점니다.

 

즉, Html 영역으로 뭔가 코드를 구성하고, 서버, 클라이언트를 구성하는 등의 부가적인 작업을 MS 솔루션이 대체해주고,

보안, 안정성 측면에서 저희는 UI, UX와 데이터 분석쪽에 시간을 더 쏟을 수 있다는 거죠 😀

저비용, Self-Maintenance (셀프 유지보수)를 지향하시는 분이라면 꼭 필수적으로 스터디해야하는 영역이라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정리하면,


 

Microsoft Solution과 Power BI를 연계한 생태계를 로우 코드로 구축하고,
데이터 입력, 전처리 그리고 시각화 및 분석을 일원화하는 것이 목표


위 내용이 결론적으로 이 블로그가 지향하는 부분이 될 것 같네요 😁

위와 같은 생각이 있으신 분이 계시거나 애타게 케이스를 찾고 계신 분이라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좋아요 / 댓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

 

추가로 프로젝트/교육 의뢰나, Power BI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이메일 : bigcorpbi0419@naver.com
  휴대폰번호 : 010-4444-0135

  크몽 의뢰하기 : https://kmong.com/gig/396278

 

제조업 관리 Power BI 시각화 대시보드 구축 - 크몽

대기업BI전문가 전문가의 IT·프로그래밍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전문가 소개- 해커스 HRD Power BI 대표 강사 - 현) 대기업 내 BI 코디네이터...

kmong.com

  ❒ 해커스 HRD 수강하기 : https://www.hackershrd.com/lecture.php?mode=lecView&product_key=01::refu%3E4%3EB004%3EM029&p_id=17282a0d5e4c6aa48f5a2fa2a51ae9f3&s_id=Y23M080031

 

기업교육의 중심 :: 해커스HRD 챔프스터디

재직자 내일배움카드, 기업단체교육, 실무역량 강화 교육, 직급별 필수교육, 고용노동부 인증 훈련기관

www.hackershrd.com